javascript 문법
-
데이터 타입 블리언(boolean), undefined, null, Object(객체), Array(배열)javascript 문법 2023. 10. 26. 22:01
1. 블리언(boolean) 참(true)와 거짓(false)를 나타낸다. let bool1 = true let bool2 = false console.log(bool1 + " " + typeof(bool1)) // true console.log(bool2 + " " + typeof(bool2)) // false 2. undefined / null un : 아니다 + defined 정의하다 = 정의가 되지 않았다 null : 겂이 존재하지 않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null과 undefined의 차이점: null 은 개발자가 직접 코드로 '없다'를 정의할 때 사용하고 undefined는 javascrip 내에서 정의한 것이 없을때 쓰인다. let x console.log(x) // undefined..
-
데이터 타입 문자열javascript 문법 2023. 10. 25. 21:21
문자열이란 문자의 나열이다. 사용법 : 원하는 값을 ''"에 넣어서 사용한다. let str = "Hello World!" console.log(str) // "Hello World!" console.log(typeof(str)) // String 1. 문자의 길이 확인하기 let str = "Hello World!" console.log(str.length) // 12 2. 문자열 결합하기 let str1 = "Hello " let str2 = "World!" let result = str1.concat(str2) // str1에 str2를 붙혀준다 console.log(result) // "Hello World" 3. 문자열 자르기 let str3 = "Hello, World!" console.log..
-
데이터 타입 : 정수javascript 문법 2023. 10. 24. 23:21
javascript의 특징: 다른언어는 데이터타입을 정해줘야 하지만 javascrip는 run time할때 타입이 결정된다. 즉 코드를 작성할 때가 아니라 코드를 실행할 때 데이터 타입이 결정된다 String a = "abc" // java cosnt a "abc" // javascript 숫자 1. 정수 let num1 = 10 console.log(num1) console.log(typeof(num1)) // number 2. 실수(float) let num2 = 3.14 console.log(num2) console.log(typeof(num2)) // number 3. 지수형(Exp) let num3 = 2.5e5 // 2.5 x 10^5 // 제곱 console.log(num3) //250000..
-
[JavaScript] 변수와 상수javascript 문법 2023. 10. 20. 21:52
변수 : 메모리에 저장한다. 읽어들여서 재사용한다. 변수의 5가지 주요개념 1. 변수 이름 : 저장된 값의 고유 이름 let a = 0; // a는 변수이름 2. 변수 값 : 변수에 저장된 값 let a = 0; // 0는 변수 값 3. 변수 할당 :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행위 let a = 0; // a에 0이라는 값을 할당 4. 변수 선언 :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에 알리는 행위 let a = 0; a라는 변수를 사용하겠다 => 변수선언 5. 변수 참조 : 변수에 할당된 값을 읽어오는 것 let a = 0; console.log(a) // a라는 변수를 콘솔에 찍어보겠다.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: var let const 1. var 다시 선언 가능, 재할당 가능 var myVar..